중증도 분류
1. 중증도 분류
메뉴위치 : 중증도 분류
환자 중증도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한다.
- 1 환자 중증도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은 Pre-KTAS, 응급환자 분류표, START, Jump-START, SALT, RTS 이다.
- 1차 평가를 위해 응급환자 분류표, START, SALT 알고리즘 중 택1하여 중증도 평가를 한다.
- 2차 평가를 위해 RTS 평가를 한다.
- 중증도 분류는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재평가가 가능하다.
- 1차 평가와 2차 평가의 알고리즘 사용의 우선순위는 없으며, 1차 평가만 진행하거나, 2차 평가만 진행하여도 된다.
- 환자가 4대 중증(심정지, 급성뇌졸중, 흉통, 중증외상)시 각 해당하는 중증도 분류를 선택한다.
메뉴위치 : Pre-KTAS
Pre-KTAS 분류표를 이용하여 병원 전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한다.
- 2 Pre-KTAS를 이용하여 병원 전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한다.
- 해당하는 환자의 나이를 항목에서 선택한다.(성인, 소아)
- Pre-KTAS 첫인상 평가 선택 항목을 선택한다.
- 첫인상평가 후 환자에게 해당하는 질환을 선택한다.
- 질환 선택 후 선택한 질환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한다.
- 항목별 왼쪽에는 중증도 순위가 나타난다.
- Level 1: 파랑
- Level 2: 빨강
- Level 3: 노랑
- Level 4: 초록
- Level 5: 무색
메뉴위치 : 응급환자 분류표
응급환자 분류표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한다.
- 빠른 중증도 분류 : 빠른 중증도 분류 시 상단의 3 긴급, 응급, 비응급, 사망 중 택1하여 저장한다.
- 증상을 선택하여 중증도 분류 : 해당하는 환자의 상태를 선택하면, 해당하는 중증도 결과가 저장된다.
메뉴위치 : START
START 분류법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선택하면 증상에 따른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4 START를 클릭 후 성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, 중증도를 평가한다. 선택 항목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START
- - 걸을 수 있는가? 예 → 비응급(녹색)
- - 걸을 수 있는가? 아니요
- - 호흡이 있는가? 예
- - 호흡 횟수: 30회 이상/분
- - 순환평가 : 맥박 있음
- - 의식 상태: 예 → 응급(노랑)
- 평가 완료 후 저장한다.
메뉴위치 : JUMP-START
Jump-START 분류법에 따라 소아 환자의 상태를 선택하면 증상에 따른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5 JUMP-START를 클릭 후 소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, 중증도를 평가한다. 선택 항목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Jump-start
- - 걸을 수 있는가? 예 → 비응급(녹색)
- - 걸을 수 있는가? 아니요
- - 자발호흡이 가능한가? 예
- - 호흡 횟수? 15회 이상 45회 이하/분
- - 맥박 촉지 확인 : 맥박 있음
- - 신경계 평가 : A, V 또는 적합 P → 응급(노랑)
- 평가 완료 후 저장한다.
메뉴위치 : SALT
SALT 분류법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선택하면 증상에 따른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6 SALT를 클릭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, 중증도를 평가한다. 선택 항목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ALT 1순위
- - 호흡 : 있음
- - 명령, 맥박, 호흡곤란, 출혈조절 : 모두 예
- - 경미한 부상인가? 아니요 → 응급(노랑)
- 평가 완료 후 저장한다.
메뉴위치 : RTS
RTS 분류법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선택하면 증상에 따른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7 RTS를 클릭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여, 중증도를 평가한다. 선택 항목에 따라 중증도가 결정된다.
- GCS
- - 눈뜨기 : 자발적으로 눈을 뜸.
- - 최대 언어 반응 : 적절하게 대답함. *지남력 있음
- - 최대 운동 반응 : 지시에 따름.
- RTS
- - 분당 호흡 수 : 10~29회.
- - 수축기 혈압 : 90mmHg 이상. → 비응급(녹색)
- 평가 완료 후 저장한다.
메뉴위치 : 4대 중증
4대 중증도 분류에 따라 환자를 평가한 후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사용한다.
- 8 환자가 4대 중증(심정지, 급성 뇌졸중, 흉통, 중증외상)에 각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중증도 분류를 한다.
- 심정지 – 자발순환 여부 / 환자의식 여부 / Shok3회 이상
- 급성뇌졸중 – 뇌졸중 선별검사 양성 / 혈당 60이하
- 흉통 – ST분절 상승 여부 / 의식 여부 / SBP 90미만 / 호흡곤란 (SPO2 94%이하)
- 중증외상 – 생리학적 소견 / 신체검사 소견 / 손상기전 및 특별사항 소견
- 각 항목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여 중증도 분류를 한다.
- 중증도 별 이송병원이 자동으로 선정된다.
- 가능한 필요자원이 확보된 병원으로 이송한다.
메뉴위치 : 감염병
4대 중증도 분류에 따라 환자를 평가한 후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사용한다.
- 환자가 해당하는 9 감염병항목을 선택하여 중증도 분류를 한다.
- COVID-19 – 코로나 환자에 대한 분류
- 항목에 해당하는 증상을 선택하여 중증도 분류를 한다.
- 중증도 별 이송병원이 자동으로 선정된다.
- 가능한 필요자원이 확보된 병원으로 이송한다.
2. 기타 기능
메뉴위치 : 메뉴(재난 목록 바로가기/환자 화면 배열하기)
환자 중증도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한다.
1 좌측상단 삼색선 선택시(메뉴버튼 나타난다. 재난 정보, 영상통화 요청하기, 재난 목록 바로가기 메뉴)
2 '영상통화 요청하기' 클릭
3 '영상통화 요청' 선택하여 요청
- 선정병원 : 수용요청 후 선정된 병원에 영상통화 요청
- 데이터센터 : 오송 데이터센터 지도의사분께 영상통화 요청
4 영상통화 시작 선택
5 영상통화 시작
6 선정병원 또는 데이터센터에서 영상통화 원할 경우 대원 구급폰에 영상의료지도 초대링크를 문자 발송함 → 문자 링크 클릭하여 접속 후 영상의료지도 시작
※ 문자링크 발송 위해 사용자 계정 정보 휴대폰번호 정보란에 구급폰 번호 입력!
7 재난 목록 바로가기 : 초기 재난 목록 화면 돌아가기
메뉴위치 : 사진 촬영/추가 환자 등록
기타 기능 설명
- 4 우측 상단의 카메라 아이콘 클릭 시 카메라 기능이 활성화 되며 환자에 대한 정보, 손상 부위 등의 추가적인 정보 입력 필요시 5 사진을 찍거나 갤러리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등록한다.
- 6 동일 재난의 환자 추가 등록이 필요할 경우 우측 상단의 사람 아이콘을 클릭한다.
- 클릭 후 "NFC 태그를 스마트폰 뒷면에 접촉해 주세요."라는 창이 뜨고 추가할 환자의 NFC 태그를 태깅한다. * QR코드로 인식하기를 위해서는 "QR코드 인식하기" 버튼은 선택한다
- 추가 환자 등록이 완료되고 초기의 환자정보 입력란 화면이 나타난다.
- 맨 하단의 타임 라인 클릭 시 해당 재난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다.
- 맨 하단의 현황 클릭 시 환자 발생, 이송 상태, 병원 수용 능력, 자력대피자에 대한 사상자 종합 현황을 확인 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