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난관리

1. 재난번호 선택 및 확인

메뉴위치 : 재난번호 선택 및 확인

출동한 재난번호 선택 및 확인한다.

  • 출동하는 재난번호 선택 및 정보를 확인한다.
  • 1 출동하는 재난을 선택한다.
  • 2 지령서 내용 확인 후 "확인"을 선택한다.
  • 3 "NFC 태그를 스마트폰 뒷면에 접촉해 주세요."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NFC 태그를 스마트폰 뒷면에 가까이 접촉한다.
            * QR코드로 인식하기를 위해서는 "QR코드 인식하기" 버튼은 선택한다.
  • NFC 태그를 완료하면 해당 재난의 환자 정보입력 화면이 나타나다.

2. 현황 보기

메뉴위치 : 실시간 현황

현황 보기를 선택하여 실시간현황을 확인한다.

  • 재난 선택 후 재난 번호의 우측 1 현황 보기를 클릭하여 선택한 재난의 환자발생, 이송상태, 병원 별 수용능력, 자력대피자 현황을 확인한다.
  • 환자발생 현황, 이송상태 현황, 병원 수용능력, 자력대피자, 각각의 현황들을 확인할 수 있다.

메뉴위치 : 자력대피자 추가

실시간 현황의 자력대피자를 선택하여 자력대피자를 추가한다.

  • 2 실시간 현황의 자력대피자를 선택하여 추가 등록이 필요한 자력대피자를 추가한다.
  • 자력 대피자 관리 화면의 우측 상단 3 자력 대피자 추가를 클릭한다.
  • 남성 인원 수, 여성 인원 수 , 대피 장소, 비고 사항을 입력하여 자력 대피자 추가 클릭하여 등록한다.

메뉴위치 : 병원 병상정보 추가

실시간 현황의 병원수용능력을 선택하여 병원 병상정보를 추가한다.

  • 4 실시간 현황의 병원수용능력을 선택하여 병원 병상정보를 추가한다.
  • 병원 수용능력 관리 화면의 우측 상단 5 관리 병원 추가를 클릭한다.
  • 병원을 검색한 후 선택한다. 긴급 가용 병상, 응급 가용 병상, 비응급 가용 병상, 사망 가용 병상을 입력한 후 병상 정보 추가 클릭 후 등록한다.

3. 사상자 등록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사상자 태그등록

재난을 선택하여 사상자를 등록한다.

1 출동 재난번호를 선택한다.

2 재난정보 확인 후 "확인" 버튼을 선택한다.

3 환자용 Etag를 태깅 또는 QR코드로 인식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사상자 태그등록

NFC태깅 또는 QR코드 인식 방법으로 사상자를 등록한다.

  • Etag 중앙 부분에 스마트폰 접촉 또는 QR코드 인식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이송 여부

이송여부를 선택한다.

1 심정지 환자 긴급이송 : 심정지 환자일 경우 '심정지 환자 긴급이송' 버튼을 클릭한다. 추가 입력 사항 없이 이송요청 화면으로 전환된다.

2 이송여부를 선택한다.

3 이송여부(이송) 선택시 환자정보 입력란이 뜨고 환자정보를 입력한다.(*필수입력항목)

4 이송여부(미이송/연계이송) 선택시 메인화면으로 이동하고 메인화면에서 자유롭게 기입한다.

5 다수사상자 발생 경우 "다수사상자" 버튼을 클릭한다.

6 중증도 분류 화면으로 이동하며 중증도 분류 후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입력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환자 발생유형

환자 발생유형를 선택한다.

  • 환자 발생유형을 선택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환자 병력

환자 병력을 선택한다.

  • 환자 병력을 선택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활력 징후

활력 징후를 선택, 입력한다.

  • 활력 징후를 선택, 입력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구급대원 평가소견

구급대원 평가소견 입력을 등록한다.

  • 구급대원 평가소견을 입력한다.

메뉴위치 : 출동정보 및 환자정보 입력 - 코로나 임상 증상

코로나 임상증상 여부를 선택한다.

  • 코로나 임상증상 여부를 선택한다.

메뉴위치 : 이송요청 및 병원선정 - 이송 요청

이송 요청을 보낸다.

1 요청자 전화번호를 확인한다.

2 추천, 참여병원 리스트 중 이송 요청할 병원 선택 또는 가까운 병원 리스트(수동선정 기능 : 수용 요청 없이 병원 선정) 중 선택한다.(CPR 가능여부 표시)

3 병원 선택 후 수용 요청한다.(최초 최대 3개 병원 요청 가능)

메뉴위치 : 이송요청 및 병원선정 - 이송 요청 결과 확인

이송 요청 결과를 확인한다.

  • 4 "요청 병원"을 선택하여 요청 병원을 추가 할 수 있다.(1개 병원씩 요청 추가 가능)
  • 이송 요청 후 병원에서 열람 전일 경우 병원 명 우측에 로딩 중 아이콘이 표시된다.
  • 이송요청 열람 시 열람 표시가 나타나며 이송 수용할 경우 수용 아이콘이 표시된다.
  • 병원에서 수용불가 답변할 경우 불가(사유)아이콘이 표시된다.
  • 이송 요청을 보낸 병원에서 2분간 무응답 또는 요청을 보낸 모든 병원이 수용 불가일 경우 5 "조정 요청"버튼이 활성화 된다.
  • 6 이송불필요 / 타병원 이송 / 현장처치 / 이송거부,거절 / 경찰인계 / 사망 / 기타인 경우 "이송취소" 버튼을 클릭하여 이송 취소한다. 또는 이송요청 진행 중 전화통화 등으로 병원이 선정된 경우 이송취소 후 수동 선정할 수 있다.

메뉴위치 : 이송요청 및 병원선정 - 병원선정

이송 정보를 입력한다.

7 이송 요청을 수용한 병원 중 환자를 이송 할 병원의 수용 아이콘을 클릭한다.

8 이송차량, 이송거리, 이송 소요시간, 선정자 선택 후 저장한다.

9 병원 도착 시 병원 도착 버튼을 클릭한다.

4. 환자정보 입력

메뉴위치 : 인적사항 입력

인적사항을 입력 또는 수정한다.

  • 1 환자정보를 입력 및 수정한다.
  • 환자의 성명, 나이, 성별, 주소 등의 인적사항을 입력한다.
  • 환자의 나이가 정확히 확인 되지 않을 시 추정의 경우 체크 항목을 체크한 후 입력 한다.
  • 보호자 입력란의 보호자명, 보호자 연락처를 입력하고 보호자 관계 항목의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 후 저장한다.

메뉴위치 : 활력징후

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입력한다.

  • 2 활력징후를 클릭하여 환자의 체온, 혈압, 호흡, 맥박, 산소포화도, 혈당, 의식여부를 입력 후 저장한다.
  • 활력징후 측정시마다 추가입력 가능하다.

메뉴위치 : 구급대원 평가소견 및 특징

환자의 손상부분, 특징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.

  • 3 구급대원 평가소견 및 특징을 클릭하여 환자 발견 장소와 특징, 주요 손상 작성 후 저장한다.
  • 인체모형 이미지를 터치하여 손상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.

메뉴위치 : 이송 요청 > 병원 선정

이송 요청을 선택하여 환자를 이송 할 병원을 선정한다.

  • 4 이송 요청을 클릭하여 5 병원 선정을 한다.
  • 6 이송 차량을 클릭하여 검색한 후 선택한다.
  • 이송 거리를 입력한다.
  • 선정자 항목에 해당하는 병원 선정자를 선택한 후 저장하면 병원 선정이 완료된다.

메뉴위치 : 이송 요청 > 이송 요청

이송 요청을 선택하여 환자를 이송 할 병원을 선정한다.

  • 7 이송 요청을 클릭하여 요청 가능 병원 목록에 있는 병원을 선택한다.
  • 8 이송 요청 중 화면이 나타나고 선택한 병원이 9 응답 대기중인 것을 알 수 있다.
  • 해당 병원이 환자 수용을 했다면 병원명 우측으로 10수용표시가 나타난다.

7 수용요청 후 5분이상 수용응답 없을 경우('조정 요청'하지 않은 상태) '구급상황관리센터에 조정 요청하시겠습니까?' 알림 창 활성화됨

- → 상황관리센터로 조정요청
- 아니요 → 알림창 닫힘

8 수용요청 후 10분이상 수용응답 없을 경우('조정 요청'하지 않은 상태) '데이터지원센터에 조정 요청하시겠습니까?' 알림 창 활성화됨

- → 데이터지원센터로 조정요청
- 아니요 → 알림창 닫힘

메뉴위치 : 미이송

환자의 미이송 정보를 입력 또는 수정한다.

  • 11 환자의 미이송 사유를 선택한 후 저장한다.
  • 기타 미이송 사유가 있다면 미이송 사유 상세 입력란에 입력한 후 저장한다.